-
2. Google Analytics 기본 보고서구글 애널리틱스 스터디 2022. 8. 2. 17:13
잠재고객 보고서
- 왼쪽 메뉴의 '잠재고객(Audience)' 아래에 위치
- 사용자의 특징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음: 거주 국가, 사용언어, 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용한 기술 등
- 연령, 성별, 참여도, 충성도, 일부 관심분야도 함께 파악 가능
1) 활성 사용자 보고서 (Active Users: AU)
- 사이트 도달범위/밀착도: 노출되는 대상의 크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 > 재방문을 함께 표시할 수 있음
- 순 도달범위: 광고에 노출된 전체 사용자의 수를 측정하는 항목 > 기본적인 쿠키 측정 외에도 다양한 기기, 형식, 사이트, 앱, 네트워크에서 광고를 본 사용자 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됨
- 인구통계 보고서: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
- 관심분야 보고서: 유형의 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보여줌
*인구통계와 관심분야의 경우 > 타겟 잠재고객이 명확히 정해져 있다면 타겟 잠재고객에게 광고가 게재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음 + 마케팅 및 콘텐츠에 대한 전략적 결정을 내릴 때 참고 가능
*보고서에 데이터가 표기되기 위해서는 > 각 속성에 대한 ''인구통계 및 관심분야' 보고서에 광고 기능을 사용 설정해야 한다는 점!
'관리(Admin)' 탭 > '속성(Property)' 탭 > 아래에 있는 '속성 설정(Property Setting)' > '광고 기능'에 있는 '인구통계 및 관심분야 보고서 사용'을 '설정(ON)'으로 지정
-> 이후에 인구통계 및 관심분야 보고서에 연령, 성별,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데이터가 표기됨!
*사이트 트래픽이 너무 적거나 세그먼트가 작으면 보고서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
2) 지역(Geo)의 위치(Location) 보고서
-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사용된 IP 주소를 통해 사용자의 대륙, 지역, 국가, 도시 등을 파악하고 > 이를 지역 히트맵에서 확인할 수 있음
ex) 히트맵을 '신규 세션수 비율'로 설정하면, 웹사이트로 유입되는 신규 사용자 트래픽에 근거해 새로운 잠재시장을 발굴할 수 있음 > 지역별로 인지도 제고와 고객 충성도 유지 중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밝힐 수 있음
3) 행동 보고서 (Behavior)
: 사용자의 방문 및 재방문을 보여주는 보고서
- 신규 vs 재방문 보고서(New vs. Returning) : 획득, 행동, 전환 목표 측정항목이 신규 사용자와 재방문 사용자로 구분되어 제공 > 일정 기간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잠재고객의 충성도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표기
4) 기술 보고서 (Technology)
: 잠재고객이 사이트를 볼 때 사용한 기술을 파악할 수 있음
- 모든 기기 및 브라우저에서 사이트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만들 수 있음
- 브라우저 및 운영체제 보고서: ex)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이탈율이 높으면 해당 브라우저를 원활하게 개편할 수 있음
5) 모바일 보고서 (Mobile)
- 개요 보고서: 트래픽 데이터를 스마트폰, 태블릿, 데스크톱으로 구분하여 확인 가능
- 기기 보고서 : 사이트를 사욯한 기기의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
획득 보고서 (Acquisition)
사용자가 어떻게 웹사이트에 도달하는지, 디지털 마케팅 및 광고가 이메일, 검색, 디스플레이 광고와 같은 다양한 채널에서 어떤 실적을 올리고 있는지에 대한 통계를 제공할 수 있음
<웹사이트의 트래픽 소스를 파악하는 방법>
매체(Medium): 사용자를 사이트로 보내는 시스템 (ex. 자연, CPC, 추천, 이메일, 없음)
- 자연: 무료 Google 검색 결과와 같은 무료 검색을 통해 사이트에 들어온 트래픽을 파악
- CPC: Google 애드워즈 텍스트 광고와 같은 유료 검색 캠페인을 통해 들어온 트래픽
- 추천: 검색엔진 사용 X, 웹사이트를 클릭하여 사이트에 들어온 트래픽을 파악
- 이메일: 이메일 마케팅을 통해 사이트에 들어온 트래픽을 파악
- 없음 : 브라우저에 바로 입력하여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 > 소스 '직접', 매체 '(없음)'으로 표시됨
소스(Source): 매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
ex) 매체가 '추천'일 경우, 소스는 사용자를 사이트로 추천한 웹사이트의 URL을 표기
ex) 매체가 '자연'일 경우, 소스는 Google과 같은 검색 엔진
*트래픽 > 소스를 통해 들어온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이용하거나 전환에 도달한 '고품질' 트래픽이어야 가장 좋음
*비교 보기에서 측정항목으로 '이탈률'을 선택
- 각 소스/매체 조합의 이탈율을 사이트 평균과 비교할 수 있음
=> 이를 통해 비즈니스의 성공에 가장 기여한 채널을 찾을 수 있음
- 채널 보고서: 채널을 기준으로 트래픽 조회 가능
- 추천 보고서: 내 사이트와 연결된 다른 사이트를 기준으로 트래픽을 분류하고자 함 > 개별 추천을 클릭하면 내 사이트로 트래픽을 보낸 웹페이지를 찾을 수 있음
*내 사이트에서 연결된 구체적인 페이지를 찾으려면 > 두번째 측정기준Secondary dimension)에서 '방문페이지(landing page)' 추가!
방문 형태 보고서
사용자가 웹사이트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보여줌.
사용자가 조회하는 콘텐츠에서부터 사용자가 페이지 사이를 이동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보고서에 포함.
<구글 애널리틱스에서 행동 데이터를 인식하는 방법>
사용자가 사이트에서 페이지를 로드할 때마다 추적 코드가 '페이지 뷰'를 생성 > 이 페이지뷰를 이용해 행동 보고서의 많은 측정항목을 측정
*총 페이지뷰 수: 사용자가 페이지를 로드한 횟수
*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: 도메인 이름 다음에 나오는 주소 부분
- 페이지별 이탈율, 머문시간, 종료율 확인: 행동 > 사이트 콘텐츠 > 모든 페이지
- 보고서의 측정기준을 '페이지제목'으로 변경하면 웹페이지의 HTML에 나온 제목을 기준으로 보고서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음
- 콘텐츠 드릴다운 보고서: 웹사이트의 디렉토리 구조에 따라 페이지를 분류 (웹사이트의 특정 세션에 있는 콘텐츠의 실적을 확인하려고 할 때 특히 유용함)
- 방문페이지 보고서: 사용자가 처음 도달한 웹사이트 페이지가 표시 > 각 방문 페이지의 이탈수와 이탈률 모니터링 가능
- 이탈페이지 보고서: 사용자가 사이트를 떠난 페이지를 알 수 있음
- 이벤트 보고서: 웹사이트의 특정 요소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추적
'구글 애널리틱스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 Google Analytics 보고서(Report) 인터페이스 (0) 2022.07.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