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Google Analytics 보고서(Report) 인터페이스
분석의 3단계 관점
구글 애널리틱스의 모든 보고서는 3단계의 관점으로 나누어서 볼 수 있다.
획득(Acquisition) / 행동(Behavior) / 전환 (Conversion)
각각에 해당하는 보고서의 상세 내용이 달라진다.
ABC 프레임워크 이해하기
1. Acquisition 획득 보고서
- 방문자들이 내 사이트 또는 앱을 어떻게 찾아서 방문하게 되었는지를 이해하게 도움을 준다.
ex) 이메일 마케팅, 소셜 미디어 마케팅, 검색 광고 등 어떤 활동이 고객 획득에 의미가 있으며 어떤 활동이 성과에 가장 많이 기여했는지 이해하게 해준다.
2. Behavior 행동 보고서
- 이용자가 사이트 또는 앱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.
- 사람들이 어떤 콘텐츠를 보는지, 이용자들이 페이지를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.
- 사이트 내 검색 엔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.
- 새로운 마케팅 기회를 얻을 수 있다.
3. Conversion 전환 보고서
- 전환 보고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최소 1개 이상의 목표(Goal)가 필요하다.
- 목표가 달성되었을 때 발생하기에 '전환수 = 목표 달성 건수'로 볼 수 있다.
- 전환율은 일반적으로 방문횟수 대비 전환수를 의미한다.
Navigating the full Audience Report | 전체 보고서
Summary (요약보기) : 획득, 행동, 전환 측정 항목별로 분류된 측정 기준의 요약 -> 마케팅 유입경로의 환경설정에서 이러한 측정항목을 보다 쉽게 해석할 수 있음
Site Usage (사이트 사용) : 사용자 수, 세션당 페이지 수, 평균 세션 기간 등과 같은 행동 측정항목을 보여줌
Goal Set (목표) : 사용자가 구성한 목표 개수를 기준으로 측정항목을 보여줌 -> 구글 애널리틱스 상에 목표를 설정한 경우에만 표시됨
Ecommerce (전자상거래) : 사용자가 애널리틱스에 전자상거래 추적을 설정한 경우 측정항목을 보여줌
<보조 측정기준> - 보고서에서 추가적인 정렬 및/또는 집계의 기준이 되는 값
: 대부분의 보고서 표에서는 기본 측정기준 값과 보조 측정기준 값의 가능한 조합별로 행 1개가 표시됨.
ex) 기본 측정 기준으로 '도시'를 선택하고 보조 측정기준으로 '사용자 유형'을 선택하면 표에는 6개의 행 (뉴욕 신규 사용자, 뉴욕 재사용자, 리마 신규 사용자, 리마 재사용자, 베를린 신규 사용자, 베를린 재사용자)이 생김.
중요한 트래픽 세그먼트에만 초점을 맞추기 위해 데이터 표 필터링 기능 -> 필터 입력란을 사용하여 필터 용어가 포함된 열만 노출
검색창 옆에 있는 '고급(advanced)' 메뉴 -> 필터링에 보다 세부적인 규칙 적용 가능
시각화 옵션
- '데이터 표' 보기 : (기본 시각화 옵션으로 제공) 잠재 고객 및 획득 보고서에 대해 획득, 행동, 전환을 측정 항목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표로 보여줌
- '원형차트' 아이콘 :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형 차트가 만들어짐 -> 전체 백분율을 비교할 수 있음 + '폴다운' 메뉴 : 원형 차트에 표시되는 보고서의 측정항목을 선택할 수 있음
- '실적' 보기 : 데이터의 막대 그래프를 보여줌 -> 트래픽의 개별 세그먼트를 나란히 비교할 때 유용함 + 폴다운 메뉴를 사용하여 막대로 표시할 다양한 측정항목을 선택할 수도 있음
- '비교' 보기 : 표에 있는 각 항목이 선택한 측정항목에 대해 사이트 평균 이상 또는 이하의 실적인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막대그래프를 보여줌 -> 지정된 행의 값이 평균 이상이면 녹색 | 평균 이하면 빨간색
- '피봇' 보기 : 비교를 위해 행과 열에 여러 개의 측정 기준 값을 표시할 수 있는 피봇 테이프블을 보여줌
Introduction to dashboards and shortcuts | 대시보드 또는 설정 자동 저장을 설정하는 방법
여러 측정 항목들이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수준으로 비즈니스에 활용될 수 있음
-> 비즈니스 또는 특정 광고 캠페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을 측정항목 또한 있음 => 대시보드와 바로가기를 사용하면 특정 보고서로 이동하지 않고도 이러한 측정항목들을 바로 쉽게 찾을 수 있음!
수집한 보고서 확인 : 맞춤설정(Customization) > 왼쪽 탐색 메뉴에 있는 대시보드(Dashboard) 클릭
대시보드 형성 : Create > Blank 또는 Starter Dashboard 선택하고 이름 지정위젯 추가 (Add Widget)을 클릭하여 대시보드에 위젯을 추가할 수 있음 > 이름 지정 및 시각화 유형 선택 가능+ 아래의 측정항목 추가 풀다운 메뉴를 사용하여 포함하고 싶은 특정 측정항목을 검색하여 추가+ 필터 추가까지 가능
레이아웃 선택 : 대시보드 맞춤설정 클릭 > 레이아웃 선택 > 형식 지정 가능
대시보드 유형 : Shared(공유) 또는 Private(비공개)- 비공개 : 해당 보기 내에 있는 현재 사용자에게만 표시- 공유 : 액세스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가 확인 가능-> 사용자당 20개의 비공개 대시보드와 보기당 50개의 공유 대시보드를 사용할 수 있음
대시보드 공유 : Share 버튼 클릭- Share Template Link : 다른 어느 보기에나 추가할 수 있는 대시보드 템플릿 링크 공유 > 사용자의 애널리틱스 데이터는 포함 X- Share in Solutions Gallery : 구글 애널리틱스 솔루션 갤러리에 대시보드 템플릿을 추가하면 가능 -> 다양한 유형의 맞춤설정 항목을 공유 가능
보고서 저장 : Save (사용자가 보고서에 저장한 모든 맞춤설정 항목이 포함됨) -> Saved Report에서 확인 가능 및 다른 관계자들과 공유 가능
평가 시험 2
1. 보고서에서 두 기간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기능은? (기간비교)
2. '사용자' 측정 항목이 측정하는 것은? (특정 기간에 사이트에서 한 번 이상 세션이 실행된 사용자)
3.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'이탈률'이란? (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도달한 후 상호작용 없이 이탈한 방문의 비율)
4.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'측정기준'에 해당하는 것은? (더 나은 분석을 위해 구성할 수 있는 데이터 세트의 속성)
5.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'측정항목'이란? (측정기준과 쌍을 이루기도 하는 데이터 세트에 포함된 숫자)
6.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'보조 측정기준'에 해당하는 것은? (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보고서에 추가할 수 있는 추가 측정기준)
7. 보고서 데이터를 웹사이트 평균과 비교하는 구글 애널리틱스 시각화는? (비교보기)
8. 샘플링된 구글 애널리틱스 보고서의 데이터 양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? (샘플링 풀다운 메뉴에서 높은 정확도 선택)
9. 대시보드에서 '템플릿 링크 공유'를 선택하는 경우 공유되는 것은? (대시보드만)
10. 대시보드를 사용자와 공유하면 사용자는 눈에 보이는 대시보드 구성을 수정할 수 있음 (참)